본문 바로가기
프론트엔드/HTML

05. HTML / 요소 - 콘텐츠 구분 & 문자 콘텐츠

by 고구마는호박고구마 2021. 2. 1.

Body 내 구조 개념 (다양항 의미를 가지는 태그들)

 

 

[콘텐츠 구분]header 태그 ( 소개나 탐색을 돕는것이 그룹 )

    -header 태그는 후손이 될 수 없다.

헤더 부분

 

[콘텐츠 구분]footer 태그 ( 사이트 하단에 작성자, 데이터, 계좌등 들어가는 자리 ) 

    - footer 태그는 후손이 될 수 없다. 

패스트캠퍼스 홈페이지의 footer 부분

 

[콘텐츠 구분]H1~H6 태그 (제목 요소)

     - 숫자가 커질수록 글자가 작아진다.

     - 폰트를 줄이기 위해서 H숫자를 높이면 안된다. -> H1~H6은 의미있게 사용해야됨 -> H1(대주제), H2(소주제)

     - H1~H6 순차적으로 사용해야됨 -> <h1></h1> <h3></h3> (X) 

     - H1은 한페이지의 하나만 사용 ( 대주제용으로 )

 

 

[콘텐츠 구분]main 태그 ( 사이트의 핵심 부분 )     - 하나의 문서에는 main 태그는 하나만 존재해야 한다.    - 문서의 주요 콘텐츠를 설정 

 

 

[콘텐츠 구분]article 태그 ( 독립적으로 구분되거나 재사용 가능한 영역을 설정 )

     - 신문 기사, 블로그 , 날씨 등 사용 , 일반적으로 h1~h6 태그를 포함 

 

출처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Element/article

 

 

[콘텐츠 구분]section 태그 ( 문서의 일반적인 영역을 설정 article과 비슷 ) 

    - section 태그 내부에 article 태그 들어갈수 있다. (그 반대도 가능)

    div 태그 와 다른점은 div태그는 의미가 없지만 section 태그와 article 태그는 제목을 포함해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콘텐츠 구분]aside 태그 ( 문서의 별도 컨텐츠 {배너 광고나 링크등} )

 

 

[콘텐츠 구분]nav 태그 (navigation의 약자 다른 페이지 링크를 제공하는 영역)

    - 메뉴의 목차를 이동할 때 주로 사용 

 

 

[콘텐츠 구분]address 태그 ( body, article, footer 등 연락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 ) 

출처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Element/article

 

 

[콘텐츠 구분]div 태그 ( 본질적으로 아무 의미없는 콘텐츠 영역 )

    - division 꾸미는 목적으로 사용 

 

 

 

콘텐츠 구분하기

 

결과 

주요 css 설정

 - 일단 섹션 부분과 aside 부분을 인라인 형식으로 만들기 위해서 main으로 2부분을 묶어 버렸다 ( 처음에는 section 태그의 display 형식을 inline으로 설정해려고 생각함 ) main으로 묶고 main의 display를 flex로 설정 그리고 section의 width는 70% aside 는 30%로 하면 가로로 정렬이 된다 . 나머지는 margin, padding 색 설정 nav 태그도 display를 flex로 설정을 해줘야지 메뉴1,2,3 이 가로로 정렬이 된다.

 

 

 

 

 

[문자 콘텐츠] ol, ul, li 태그 ( 목록을 만드는 태그 ) 

     <ol> 순서가 있는 태그 ( 대대분 1, 2, 3 ... 순서로 정렬이 된다.)

     <ul> 순서가 없는 태그 ( 점으로 설정이 된다. ) 

     <li> ol , ul 태그의 리스트 (블록 요소)

 

 ol 태그는 속성을 추가하여 설정이 가능 

속성에는 - reversed ( 항목을 역순으로 성정 ) ex) <ol reversed> -> 갯수만큼 역순으로 설정이 된다.

            - start (항목에 매겨지는 번호의 시작 값 )  ex) <ol start="4"> -> 4부터 시작

            - type (항목에 매겨지는 번호의 유형 ) A, i, 1, 등 가능 

 

[문자콘텐츠] dl, dt, dd 태그 

< 용어 dt   정의 dd >  -> 영역 dl

< ul -> dfn(dt)   li(dd) 로 많이 사용 > 

 

 

 

[문자콘텐츠] p 태그 ( 하나의 문단을 설정 )

        - 일반적으로 정보통신보조기기 등은 다음 문단(<p>) 으로 넘어갈 수 있는 단축키를 제공한다.

 

 

 

[문자콘텐츠] hr 태그 (수평선을 만드는 태그)

        - 대부분의 경우 수평선(border)으로 표시되나 의미적 관점으로만 사용해야 한다.

        - 상하좌우가 있는 구조이다. 

 

 

 

[문자콘텐츠] pre 태그 ( 서식이 미리 지정된 텍스트를 설정 )

        - 텍스트의 공백과 줄바꿈을 유지하여 표시가 가능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