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트캠프30

코드스테이츠 백엔드 부트캠프 43기 (Section2 회고) ✔️ KEEP 스터디카페 출근! (집에서는 절대 안 하는 게이름뱅이라 스카정기권 구매 후 노트북을 아예 스터디 카페 사물함에 놓고 퇴근을 한다. 그래서 매일 9시 전에는 무조건 스카에 온다) 주 4회 운동! 3끼 이상 챙겨먹기 ✔️ Problem 코테 문제를 못 풀때 답을 보면 좌절하게 된다… 왜 이 간단한 알고리즘을 생각을 못하는 걸까… ✔️ 회고 벌써 섹션2가 끝난 게 거짓말인 것 같다. 매일매일 새로운 것을 배우면서 발전하고 있는 내 자신을 보며 뿌듯함을 느낀다. 섹션2 과정을 배우면서 백엔드 서버단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고 그 중에서 스프링에 대한 핵심 개념들도 많이 배울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 TMI로 이번에 6년된 노트북을 새로 바꿔서 바뀐 노트북의 빠른 스피드에 감탄하여 코딩을.. 2023. 2. 10.
코드스테이츠 백엔드 부트캠프 43기 (36일차-스프링 프레임워크 DI) DI Spring Framework에서 DI(의존성 주입)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이 될까 IoC 원칙(주도권이 프레임워크가)을 구한하여 위하여 DI를 사용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핵심 컴포넌트이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내부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빈의 생명주기를 관리합니다. 빈(인스턴스화된 객체) -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 관리되는 재사용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이다. 컨테이너 - 컨테이너는 먼저 객체를 생성하고 객체를 서로 연결합니다. 스프링 컨테이너 - 객체 == 빈 2023. 2. 6.
코드스테이츠 백엔드 부트캠프 43기 (35일차-스프링 부트) 스프링 부트 아키덱처(구조, 틀) - 스프링 프레임워크 REST API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구조는 어떻게 될까? 먼저 클라이언트로 부터 요청이 오면 API 계층에에서 확인을 하여 요청에 맞는 서비스계층으로 들어가 서비스를 수행하고 마지막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데이터 액세스 게층으로 이루어진다. Spring framework 아키텍처 (지원하는 모듈) SpringBoot Spring vs SpringBoot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기능이 많은만큼 환경설정이 복잡한 편이다. ( 사용자가 프로젝트를 셋팅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거걸림)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나온 것이 바로 스프링 부트 -> 개발자는 비니지스 로직만 작성하면 됨 Spring Boot을 사용해야하는 현실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XML .. 2023. 2. 3.
코드스테이츠 백엔드 부트캠프 43기 (34일차-스프링 프레임워크 특징) 스프링 프레임워크 서버에서 동작하는 자바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 -> 기술 : 스프링 프레임워크 (오픈소스 기반의 기술) Framework가 어떤것인지, 그리고 Framework와 Library의 차이 Framework=우리가 웹을 만들기 위한 구조, 틀을 제공 자바-Collections Framework(배열을 활용한 기능의 뼈대를 제공) Framework를 사용하는 장점과 단점 장점 : 효율적인 코드 작성 가능, 정해진 규약이 있기에 관리가 편함 단점 : Framework의 학습이 필요, 자유롭고 유연한 개발이 어렵다. 프레임워크 vs library Library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사용되는 일련의 데이터 및 프로그래밍 코드입니다. ->기능을 미리 구현해놓은 집합체(메소드) 자동차가 제작을 한.. 2023. 2. 2.
코드스테이츠 백엔드 부트캠프 43기 (32,33일차-SQL) Intelij 에서 MySQL에 데이터 삽입 데이터베이스를 연결을 확인, 데이터 추가, 변경, 검색 등을 통한 과제를 실시 하였다. CREATE 따로 schema.sql 문서를 작성하여 호출후 명령을 실행하도록 동작 1 : 작성한 문서의 위치를 참조여 file로 설정 하여 파일을 읽는다. 2 : split메소드를 사용하여 세미콜론을 기준으로 실행할 명령어를 String 배열에 담는다. 3 : excute()메소드를 사용하여 실행을 하면 명령이 실행되고 mysql에 데이터 저장 - Statement 클래스는 SQL 명령어를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JDBC : 자바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 JDBC API 를 사용하여 제공하는 메소드를 통하여 DB와 연결하고.. 2023. 2. 1.
코드스테이츠 백엔드 부트캠프 43기 (31일차-SQL)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SQL = 구조화된 쿼리 언어. 쿼리 = 질의문 -> 데이터베이스에 쿼리를 보낸다. -> 원하는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삽입한다. SQL - ACID ACID =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이 발생할 때, 그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성질 + 트랜잭션이란 여러 개의 작업을 하나로 묶은 실행 유닛. Ex) 송금 = 1.돈을 보낸다. 2.내 계좌에서 돈- 3.받는 사람 계좌에서 돈+ => 이 작업이 하나의 묶음으로 실행 되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의 안정설을 보장하기 위한 성질이 ACID Atomicity (원자성) : 전부 성공하거나 전부 실패 Consistency (일관성) : 하나의 트랜잭션 이전과 이후,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는 이전과 같이 유효해야 한다. I.. 2023. 1. 31.
코드스테이츠 백엔드 부트캠프 43기 (30일차-HTTP) API ⭐️ REST API API란 ?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정의 및 프로토콜 집합을 사용하여 두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입니다. 예를 들어, 기상청의 소프트웨어 시스템에는 일일 기상 데이터가 들어 있습니다. 휴대폰의 날씨 앱은 API를 통해 이 시스템과 ‘대화’하여 휴대폰에 매일 최신 날씨 정보를 표시합니다. 과거의 SOAP API 이 API는 단순 객체 접근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XML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교환합니다. 과거에 더 많이 사용되었으며 유연성이 떨어지는 API입니다. -https://aws.amazon.com/ko/what-is/api/ 현재의 REST API REST API란? - .. 2023. 1. 27.
코드스테이츠 백엔드 부트캠프 43기 (28일차-코딩테스트) 오랜만에 블로그에 회고를 쓴다... 몇일 글쓰는게 귀찮게 느껴졌으며 다시 마음을 잡고 회고를 시작한다. 코딩테스트를 공부하면서 탐욕 알고리즘, 구현, 완전 탐색 알고리증, BFS, DFS 등을 학습하며 문제를 풀고있다. 예전에는 문제를 보면 아무생각 없이 머리를 써가면서 대충 풀었다면 이제는 이게 어떠한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문제인가를 떠올리고 푸려고 노력한다. 오늘은 코플릿에 있는 코딩테스트 5번,6번,7번,8번을 풀어보았다. 조합은 순서에 상관이 있으며 중복이 있어서는 안됨 ! ( 조합 : 순서 상관 O -> ( 1,2,3 - 1,3,2 순서가 달라도 같음) 7번 문제는 정해진 수만큼 돌면서 안겹치게만 수를 구하고 거기서 그 수의 합이 소수인지 찾는 문제 였다. 나는 소수를 찾을 때 나눠지는게 2개이상.. 2023. 1. 25.
코드스테이츠 백엔드 부트캠프 43기 (19,20일차-Section1 회고) 한 달 진행 후기 백엔드 부트캠프를 하기전 내가 얻고자 했던 것 1. 전공에 대한 부족한 부분을 채우자. 2. 다양한 사람들과 많이 소통해보자. 3. 프로젝트 경험을 쌓자 (협업 능력). 4. 규칙적인 생활 + 훈련수당 1. 전공에 대한 부족한 부분을 채우자. 대학을 다니면서 과제와 시험에 쫓기다 보면 메타인지를 깨닫지 못하고 오로지 시험에 나올 필요한 부분과 효율적이지 못한 공부를 하게 되었다. 그래서 전공자 임에도 완벽하지 못한 걸 깨달았고 이러한 부분을 채우고 싶었다. 확실히 부트캠프를 진행하면서 한 번 배운 내용을 보게 돼서 그런지 전체적인 흐름을 알 수 있었고 내용, 개념을 아는 것보다는 이걸 왜 사용하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다 보니 점점 전공에 대한 살 이 붙기 시작하였다. 학부 시절에는 깃허.. 2023. 1. 11.